WSL Ubuntu 부팅 시 SSH 자동 시작 +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오늘은 내 PC에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WSL의 우분투를 실행하고, 자동으로 SSH 서버를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릴게요.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SL 우분투에서 SSH 서버 설치 및 설정 지난 시간에 우리는 우분투에 SSH를 설치하고 원격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구성하였습니다.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 WSL 실행 시 SSH 자동 실행 설정 WSL을 실행하고 “su” 명령어를 통해 root 권한을 … Read more

WSL 우분투(Ubuntu)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로 설정한 과정 정리

WSL2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로 설정한 과정 정리

지난 시간에 Windows PC에 구성해두신 WSL 환경을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참고하며 구성한 과정을 정리해 공유해 드립니다. 1. 공유기 내부 IP 고정 외부에서 특정 PC로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PC의 내부 IP를 고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 WSL2 가상 IP → 실제 IP 포워딩 설정 WSL2는 가상 머신 환경이기 때문에 매번 부팅 … Read more

WSL 우분투(Ubuntu)에서 SSH 서버 설치 및 root 접속 설정하기

WSL에서 SSH 서버 설치 및 root 접속 설정하기

지난 시간, 서버 작업을 위해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원격 접속 또는 동일 PC 내에서 터미널을 통해 서버를 다루기 위해 SSH 서버를 설치하고 root 계정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정해보겠습니다. 1. 터미널 열기 & root 권한 획득 WSL 우분투를 실행한 뒤, su명령어로 root 권한을 획득합니다.비밀번호를 입력하면 root로 전환됩니다. 2. SSH 서버 설치 먼저 패키지를 … Read more